불안장애는 오래전 어느 날부턴가 나도 모르게 찾아온 삶의 괴로움이다. 불안하다는 것은 가히 인간의 삶 속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감정반응일 수도 있겠지만, 언제부턴가 이 불안함의 강도는 지나치게 커지고 쌓이는 스트레스로 인해 심각한 수준으로 과도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장기화된 불안함은 통제불가능이 되어, 불면증과 수면장애까지 이어져 정상적이고 건강한 정신건강상태를 위협하고 말았다. 불안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수면장애와의 연관성에 대해서 설명해보고자 한다.

불안의 이해
불안은 우리 생존에 중대한 스트레스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하지만, 불안이 압도적이 되고 내가 통제할 수 없게 되면 그것은 심각한 감정적 고통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반화된 불안장애는 일상적인 상황에 대한 심한 걱정을 포함한 일반적인 불안의 형태이다. 다른 불안 장애에는 공황 장애, 사회 불안, 그리고 포비아라고 하는 특정 공포증이 포함된다고 한다. 불안의 신체적 증상에는 빠른 심박수, 호흡곤란, 떨림, 불안정이 포함된다. 유발요인을 특정하고 불안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수면장애와의 연관성
불안과 수면장애는 종종 함께 진행되어 사람의 전체적인 건강을 방해하는 악순환을 형성한다. 잠들기 힘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면증은 불안과 관련된 일반적인 수면장애이다. 밤에 계속되는 걱정이나 격렬한 사고방식은 안정적인 수면을 취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으며, 이는 낮의 피로나 짜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게다가 만성적인 수면 부족은 불안 증상을 악화시키고 깨어나기 어려운 주기를 만들 수 있다. 수면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불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중요하다고 본다.
불안에 대한 대처 전략
불안을 관리하는 데는 신체적 측면과 감정적 측면을 모두 다루는 총체적인 접근법이 포함된다. 요가나 명상과 같은 규칙적인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스트레스를 줄이고 휴식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게다가 심호흡기술을 연습하는 것은 불안한 순간 동안 마음을 진정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친구, 가족 또는 치료사와 지원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 또한, 마음속에 한정된 공간을 제공하는 길이 될 수 있다.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인식하고 그것들을 긍정적인 마음으로 대체하는 것은 불안 수준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
전문가의 도움
불안증을 20년동안 겪고, 온갖 심신안정에 필요한 요가, 마인드컨트롤, 운동 등을 다 해본 결과, 나 같은 경우는 결국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했다. 자가치료전략은 일시적으로 효과적일 수 있지만, 심각한 불안이나 지속적인 수면장애를 겪는 나 같은 사람들에게는 역시 전문적인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필수였던 것이다. 물론, 심리치료사가 아닌 정신건강의학과에서 short-term 수면제나 신경안정제 등을 처방받았다. 잠을 잘 수 없는 끝없는 생각과 불안함에 결국 생활이 안될 정도의 극도의 피곤함으로 생활의 균형을 잃었었고 밤이 오는 것이 두려울 정도로 나의 수면장애는 심각했다. 지금 역시 완치된 것은 아니지만, 그나마 불안함은 조금씩 사라지고 있다. 우선, 몸을 피곤하기 위한 운동도 필수지만, 멜라토닌의 생성을 위한 낮에 햇빛보기 역시 중요함을 알게 됐고, 가장 중요한 것은 긍정적인 마음가짐인 것 같다. 나쁜 생각이 잦았고 모든 것이 불안하기만 했던 순간들이 오면, 무조건 그 부정적인 생각을 떨쳐내고 좋은 생각만 하려고 노력했다. 아니, 그 노력은 매일매일 여전히 나의 일상의 매 순간이 되어가고 있다. 삶의 평화를 바라는 건 아니지만, 불안의 지배에서 벗어나 보다 균형 있는 생활을 하는 것이 나의 바람이다.
'정신건강 (Mental He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면을 못하는 이유: 잦은 야간 각성 (0) | 2023.08.08 |
---|---|
불안해지는 원인파악과 대처방법 (0) | 2023.08.07 |
불면증과 음식의 놀라운 연관성 -불면증엔 도대체 무슨 음식이 좋은 건가 (0) | 2023.08.06 |
해파리수면법에 대하여 (0) | 2023.08.05 |
불면증 이야기 (0) | 2023.07.23 |